경제, 안전, 건강 등 서로 돌봐줄 사람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구에 비해 생활에 취약점이 발생합니다. 시간이 지날 수록 늘어나는 1인가구수 추세에 맞추어 정부는 공공임대 주택 공급 등의 새로운 형태의 주거모델을 제안하고 있는데요. 각 지역 자치 단체도 이에 대비한 여러정책을 마련하거나,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글에서는 지자체 대책의 대표로 서울에서 1인가구 복지내용을 소개하려 만든 씽글벙글 서울 포털을 살펴보려 합니다.
우선 링크를 먼저 붙이겠습니다.
씽글벙글 서울(서울 1인가구 포털)
1인가구 안심해요. 서울시가 함께해요!
1in.seoul.go.kr
접속하여 지원사업 부문 검색 해 보기
역시 가장 관심이 가는 것은 경제적지원 부분이 될 것 같아 단도직입으로 지원사업 내용이 어떻게 정리되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그림은 씽글벙글서울 사이트의 한 부분을 캡쳐한 것인데요. 좌측 상단에 "지원사업" 에 대한 소개부분이 있습니다.
들어가 보시면 위와 같이 서울특별시 내에 각 지자체별로 마련하고 있는 사업들이 카드형태로 나열 되어 있습니다.
그 위에는 각 구 지자체의 이름과 연령, 성별, 카테고리로 필터랑 하여 지원사업을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화면을 배치하고 있습니다.
예시 - 서대문구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
위의 검색을 통해 서대문구의 주거지원 사업하나를 검색하고 살펴 봤습니다. 실제로는 중앙정부에서 기획진행하고 있어서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접수해야 하는 사업입니다.
1. 지원대상
- 부모님 떨어져 거주하고 있는 무주택 청년을 대상으로 하고, 보증금 5천만원, 월세 60만원 이하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로 한정합니다. 청년은 만 19세에서 만 34세 이하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 이미 시, 도 또는 해당 지자체에서 청년월세지원을 받은 경우에는 중복 지원이 불가능 하니 확인하셔야 하겠습니다.
2. 지원내용
- 월 20만원 임차료를 12개월 간 최대 240만원 지원하며
- 주거급여를 받고 있는 경우는 해당분을 차감후 지급합니다.
3. 신청방법
- 2023년 8월 21일까지 복지로 사이트 또는 주민센터 방문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4. 선정기준 -> 청년가구와 원가구의 소득을 기준으로 선정함.
- 청년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이면서 재산이 107백만원(약 1억)이하
- 원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00% 이하이면서 재산이 380백만원(약 4억)이하
해당 제도에 대해서는 복지로 사이트에 더 자세히 소개되어 있으니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4661
tbu/app/twat/twata/twataa/TWAT52011M
www.bokjiro.go.kr
이 글은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자료를 요약 정리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서고한
'이슈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대통령의 두번째 임기 관련 서적 소개 (0) | 2025.01.23 |
---|---|
취약계층 에너지바우처 - 평균 19.5만원 지원 예정 (0) | 2023.05.26 |
청년내일저축계좌 (0) | 2023.05.25 |
석탄일 대체 5/29 만기대출, 30일 갚아도 연체 없어.. (0) | 2023.05.24 |
풍수해보험, 정부가 70%이상 보험료 지원 (0) | 2023.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