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와 정보

캥거루 족. 어떻게 봐야할까?

by SeoGoHan 2025. 3. 20.
반응형

최근 모 유튜버의 캥거루족 관련 발언이 화제가 되면서 캥거루족에 대한 논란이 다시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캥거루족은 성인이 된 후에도 부모에게서 독립하지 못하는 청년들을 빗댄 말입니다. 현실을 잘 모르는 체로 부모님과 함께사는 청년들을 무시했다는 시각과 여태 사회에서 제 몫도 못하고 제 밥벌이도 못하는 무능력자들의 변명일 뿐이다라는 의견등으로 양분되고 있지만, 팍팍한 현실로 인해 전자에 의견을 바탕으로 지금의 청년들에게 연민을 느끼고 있는 분들이 더 많아 보이기는 합니다. 

관련하여 국무조정실에서 3월 11일에 발표한 2024년 청년실태 조사를 한번 살펴 보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 생각되어, 해당 내용에서 볼만한 이슈들을 뽑아 봤습니다.  

1. 청년들의 경제적 현실

2024년 조사에 따르면, 청년들의 취업률은 67.7%에 달하며, 평균 월소득은 266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90.6%의 청년이 이직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는 직장에 대한 불만족과 더 나은 기회를 찾으려는 경향이 강해졌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고용 불안정과 낮은 임금이 주요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2. 주거 문제와 독립의 어려움

청년의 54.4%는 여전히 부모와 함께 거주하고 있으며, 독립을 계획하고 있는 비율은 38.0%에 불과합니다. 높은 주거비와 낮은 소득 수준이 독립을 가로막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청년 맞춤형 주거 지원 정책을 확대하고 있지만, 여전히 실질적인 체감 효과는 미비하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3. 청년들의 정신 건강 문제

이번 조사에서 우울증상을 경험한 청년 비율은 8.8%, 자살을 생각한 경험이 있는 청년은 2.9%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최근 1년간 번아웃을 경험한 비율이 32.2%에 이르는 등 정신 건강 문제가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줍니다. 이는 취업난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4. 사회적 고립과 관계의 변화

거의 집에만 있는 고립·은둔 청년의 비율이 5.2%에 달하며, 이는 인간관계의 어려움과 취업난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한편, 정치와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낮아지고 있는 것도 주목할 만한 변화입니다.

5. 청년들의 미래 전망과 정책적 대응

청년들의 결혼 및 출산 의향이 감소하고 있으며, 개인적인 만족과 경제적 안정이 더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사회가 청년들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취업 안정성 강화, 정신 건강 지원 확대, 주거 문제 해결 등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합니다.

 

여우가 산에 많아지만 그 냄새를 맡고 맷돼지가 새끼를 적게 낳는다는 말을 하며, 자식이 어떤 세상을 살아갈 지 뻔히 아는데 출산의향이 적어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니냐고 말하는 모 연예인의 인터뷰를 본 적이 있습니다. 청년과 관련한 여러 지원 정책들이 나오고는 있지만 위에 언급된 이슈과 관련한 통계들은 계속해서 좋지 않는 싸인을 보내고 있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이 미래를 맞이 해야 할까요? 

 

그만 고민하고 싶다.

- 서고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