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청년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사업을 이사를 자주 할 수 밖에 없는 청년들의 주거비 경감을 위해 지원 하고 있습니다.
1. 지원대상
2022.11.17.이후 서울시로 전입 또는 서울시 내에서 이사 후 전입신고 완료한 만 19~39세 청년가구로서 신청 자격을 충족하는 자
- 동거인(부모, 배우자, 형제‧자매 등) 있어도 지원 가능
※ 단, 세대주와 임대차계약서상 임차인은 신청자 본인이어야 함
2. 지원금액
최대 40만원 한도 내 실비 지원 ※ 생애 1회
3. 신청기간
2023. 5. 9.(화) 10:00 ~ 2023. 6. 9.(금) 18:00
4. 지원내용
부동산 중개보수, 이사비 및 종이가구 구입비 ※개별 신청 가능
5. 신청자격 및 선정방법
- 연령 : 2023년 기준 만 19~39세 청년 (1983.1.1.~2004.12.31. 출생)
- 소득 및 재산 :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신청인 본인 무주택
※ 신청인이 속한 가구의 '23년 4월분 건강보험료 고지액이 '23년 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표상 기준
※ 신청인의 건강보험이 피부양자인 경우 부양자 고지금액 기준
- 주택 : 거래금액 2억원 이하 전‧월세 거주
※ 거래금액 = 임차보증금 + (월세액 × 100)
거래금액이 5천만원 미만 -> 임차보증금 + (월세액 × 70)
※ 동일 대상 기간에 타기관으로 부터 동일한 명목으로 지원을 받았다면 제외 됨.
- 사회적 약자 및 주거취약청년 우선 선발 후 소득 낮은 순(위의 건강보험 기준으로)으로 선정
* 사회적 약자 및 주거취약청년
1) 사회적 약자 : 장애인,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 한부모 가족, 북한이탈주민, 다문화가정,
국가보훈관계법령에 따른 국가보훈대상자
2) 주거취약청년 : (반)지하‧옥탑방‧고시원 거주 청년
총 5천명을 대상으로 하는 데, 사회적약자와 주거취약을 고려하여 소득이 낮은 사람 순서로 지원을 받게 됩니다. 팍팍한 서울 생활에서 크지는 않지만 조금의 주거비 부담이라도 줄여 숨쉴 구멍을 열어볼 수 있을 만한 제도 입니다. 선착순이 아닌 별도의 기준으로 심사하여 지원 대상을 선정하는 제도이니, 늦었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서울시의 공고를 확인하시어 기간내에 지원해 놓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생애 1회 지원인 만큼 반드시 지원하여 기회를 잡아보세요.
6월9일까지 접수된 서류를 심사하여 서류심사결과를 7월, 최종심사결과를 8월에 발표할 예정이고, 최종심사결과 즈음인 8월에 지원금 지급도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 포스팅은 서울시의 청년 지원 관련 사이트에 동일한 내용이 게시된 것을 정리하여 작성 했습니다.
정보의 원천은 청년몽땅정보통입니다. 아래 링크를 따라가 제출서류 및 자격등을 꼼꼼히 체크해 보시고, 우편 접수 없이 온라인 접수만 받고 있다는 점도 주의해 주세요.
https://youth.seoul.go.kr/site/main/content/moveFee_intro
소개 >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 > 주거비 지원 > 주 거 > 청년몽땅정보통
청년몽땅정보통,청년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사업이란? 이사가 잦은 청년의 주거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부동산 중개보수와 이사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사업개요 사업명 : 2023년 청년
youth.seoul.go.kr
- 서고한
'이슈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수해보험, 정부가 70%이상 보험료 지원 (0) | 2023.05.23 |
---|---|
2학기 1차 국가장학금 신청 (0) | 2023.05.22 |
BPA, 비스페놀, 환경호르몬 - 친근한 플라스틱의 위협 (0) | 2023.05.19 |
바다 콧물, 오염으로 끈적해지는 바다 (0) | 2023.05.19 |
5월 16일 6년만에 민방위훈련 재개 (0) | 2023.05.18 |
댓글